안녕하세요~ 말씀 묵상과 영어공부를 동시에 알려드리는 저는 김정연 영어입니다.
오늘의 영어 성경구절은 출애굽기 20장 12절입니다.
한글 성경구절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리라 (출애굽기 20장 12절, 개역개정)
영어 성경구절
“Honor your father and your mother, that your days may be long in the land that the Lord your God is giving you. (Exodus 20:12, ESV)
관련 어휘
honor
1. 존경, 공경
2. 영광, 영광스러운 것
3. 명예
4. 훈장, 작위
5. (대학의) 고급반 강좌, (학교의) 우등반
6. 우수한 성적, 우등
7. (~으로) ~에게 영광을 베풀다
8. (공적을 기려 훈장작위 등을) 수여하다
9. (합의약속을) 지키다
that
1. 저(말하는 이 가까이에 있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킬 때 씀)
2. 그(앞에서 말한 사람이나 사물·말하는 이나 듣는 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킬 때 씀)
3. 저 사람, 저이; 저것(말하는 이 가까이에 있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킴)
4. 그 사람, 그이; 그것(앞에서 말한 사람이나 사물말하는 이나 듣는 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킴)
5. (특정한 유형의) 사람들 [그것들]
6. <사람·사물·시간을 수식하는 형용사절을 이끄는 관계대명사>
7. <일부 동사·형용사·명사 뒤에서 종속절을 이끎>
8. 너무 … 해서 … 하다
9. (바람·소망을 나타내어) … 하기를
10. 그렇게, 그만큼, 그 정도
11. 그렇게 [그 정도로] … 하지는 않은
12. (강조를 나타내어) 그 정도
day
1. (24시간 동안의) 하루, 날; 요일
2. 낮 (동안), (아침부터 해가 지기까지의 시간인) 하루, 주간
3. (깨어 있거나 노동하는 시간 등을 가리키는) 하루[날/일]
4. (특정한 때나 역사적인) 시기[시대/시절]
may
1. (가능성을 나타내어) … 일지도 모른다 […일 수도 있다]
2. … 인지는 모른다(다른 사항주장 등을 말하기에 앞서 어떤 내용을 인정할 때 씀)
3. (허락을 나타내어) … 해도 되다 [좋다]
4. (정중한 질문논평 등에서) … 해도 되다
5. (바람소망을 나타내어) … 이기를 (빌다)
6. <목적을 나타냄>
7. 산사나무의 꽃
문장 분석
Honor your father and your mother, / that your days / may be long / in the land that the Lord your God is giving you.
Honor your father and your mother, / 너의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영광을 베풀어라
that your days / 그러면 너의 시절들이
may be long / 길 것이다
in the land that the Lord your God is giving you. / 여호와 너의 하나님이 너에게 주신 땅에서
지난 시간에 명사를 수식해 주는 주격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오늘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도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본적인 패턴은 "명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주어 동사~"입니다. 뒤에 나오는 목적어를 대신해서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사용했기 때문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다음은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나와야 합니다.
부모님을 영광스럽게 대해야 합니다. 물론 세상의 모든 부모가 다 훌륭한 분들이시지만 간혹 우리에게 실망을 안겨드리는 행동을 할 때도 있지 않나요? 하나님께서는 부모의 존경받을만한 면을 존경하라고 하시지 않았습니다. 그저 부모님을 존경하라고 하셨습니다. 왜 그럴까요?
하나님께서는 인간이 자신의 부족한 부모님을 존경하는 것을 통해 우리가 하나님을 존경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십니다. 우리의 행위로 인해서 우리가 구원을 받지는 않습니다. 이것을 율법주의라고 합니다. 그렇다고 신자의 생활에 있어서 행위가 필요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신자다운 행동은 우리에게 있어서 조건이 아니라 우리의 생활이 되어야 합니다. 구원을 받은 신자라면 삶 속에서 마땅히 행동이 나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혹시 부모님을 존경하지 않으시는 분이 있다면 그것은 부모님의 잘못이 아니라 우리의 신앙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댓글